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3 여름방학, 수시냐 정시냐 결정하는 기준 5가지

by growingkind 2025. 4. 28.
반응형

수시냐 정시냐 결정하는 기준 5가지

 

고3 여름방학은 단순한 휴식기가 아니다. 이 시기는 수시와 정시 중 입시 전략을 최종 결정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다.

많은 학생들이 여름방학 이후에도 수시와 정시를 동시에 준비하려 하지만, 리소스가 한정된 상황에서 양쪽 모두에 성과를 내는 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이 글에서는 수시/정시 선택을 위한 5가지 체크 기준을 안내한다.

학생과 학부모 모두 지금 이 기준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

 

1. 내신 등급과 학생부 완성도를 점검하자

  • 내신 평균 2.5등급 이내 + 세특/동아리 충실 → 수시 유지 고려
  • 내신 3등급 이하 + 비교과 비중 낮음 → 정시 전환 검토

학생부종합전형은 ‘기록의 정성’이 핵심이다.

내신이 낮더라도 세특·진로활동이 강한 경우 수시 가능성은 있다.

 

2. 수능 모의고사 점수를 기준 삼지 말고 ‘상승 곡선’을 봐야 한다

  • 6월 모평 성적보다 중요한 건 점수 상승 곡선
  • 수능까지 남은 4개월 동안 상승 여지가 있는지 체크

정시 전략은 현재 점수보다 ‘성장 가능성’이 좌우한다.

 

3. 지원 가능한 수시 대학군과 전형 요소를 분석하자

  • 교과전형: 내신 중심 / 학종전형: 비교과 중심
  • 논술전형: 준비 경험 + 학습 체력이 있어야 도전

수시 6장의 카드, 단순히 ‘적당히 써보자’가 아닌 전략적 구성 필요

 

4. 학원/컨설팅보다 중요한 건 ‘나의 확신’이다

  • 입시는 결국 본인이 싸워야 하는 문제
  • 외부 조언은 참고하되, 본인의 스타일과 현실을 더 신뢰할 것

“수시 넣어볼게요”가 아니라 “수시로 간다”는 태도에서 차이가 난다.

 

5. ‘이도 저도 아닌 상태’가 가장 위험하다

  • 수시는 적당히 / 정시는 대충 → 입시 실패 가능성 ↑
  • 수시 포기 = 정시 집중, 수시 유지 = 수능 병행 계획 필수

선택은 분명하게, 전략은 유연하게 가져가는 것이 고3의 핵심 전략

 

마무리: 여름방학, 입시의 흐름을 바꾸는 유일한 시점

고3 여름은 ‘늦기 전 마지막 기회’다. 지금 결정하지 않으면 입시 흐름은 스스로가 아닌 상황이 이끌게 된다.

수시와 정시, 어떤 길을 가더라도 중요한 건 지금의 결심을 구체적인 전략으로 바꾸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