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학생 과목별 공부법, 이렇게 달라야 합니다.

by growingkind 2025. 4. 14.

과목의 성격을 알면, 전략이 보입니다

중학교에 올라오면 학습량은 많아지고, 과목 수도 늘어납니다.

초등학교 때까지 잘 따라가던 아이도 중학교에 들어서며 각 과목의 공부법에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모든 과목을 같은 방식으로 공부하려고 하기 때문이죠.

오늘은 과목별 특성에 맞는 공부법을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 이유부터 알려드리고,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실천 방법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중학생 과목별 공부법

 

🟦 국어: '읽고 이해하는 것'에서 '표현하는 것'으로!

📌 왜 이렇게 공부해야 할까?

중학교 국어는 단순한 독해력이 아니라 논리적 사고력자기표현 능력까지 평가합니다.
지문을 읽고 푸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서술형이나 자기 생각을 말로 풀어내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 실천 전략

  • 지문 분석 노트 만들기
    지문을 단순히 읽고 문제 푸는 게 아니라, 주제, 전개 방식, 핵심 문장을 직접 써보며 정리하세요.
    특히 비문학은 글 구조를 눈으로 파악하는 훈련이 효과적입니다.
  • 서술형 오답노트 활용
    틀린 서술형 문제는 정답만 외우지 말고, 자기표현으로 다시 써보는 연습이 필수입니다.
    예를 들어, “왜 그 인물의 선택이 중요했을까?” 같은 질문을 스스로 만들어보면 사고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 낭독 & 요약 훈련 (하루 5분)
    국어는 ‘소리 내어 읽기’가 생각보다 효과적입니다.
    읽은 지문을 3 문장 이내로 요약하는 훈련을 꾸준히 하면, 논술식 문제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어요.

 

🟩 영어: 단어 외우기보다 ‘문장 감각’이 먼저입니다.

📌 왜 이렇게 공부해야 할까?

중등 영어는 내신 중심이지만, 결국 문장 이해와 쓰기 능력이 수능까지 연결됩니다.
단어보다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 파악이 우선입니다.

✅ 실천 전략

  • 교과서 문단 재구성: 그대로 외우기보다, 한 문단을 자기표현으로 다시 써보기
    예: “John likes soccer because it gives him energy.” → “He enjoys playing soccer since it makes him feel better.”
  • 구문 중심 정리 노트: 접속사별 문장 예문 정리 
    "because", "although", "so that" 같은 접속사별 문장 구조를 직접 정리하세요.
    한 가지 구문으로 문장 여러 개 만들기 훈련이 쓰기, 말하기 실력에 직결됩니다.
  • 음독 + 직독직해: 발음과 의미를 동시에 훈련/ 소리 내어 읽으면서 의미를 바로 해석하는 습관을 들이면,
    듣기/읽기 속도도 자연스럽게 빨라집니다. 하루 10 문장만이라도 꾸준히!

 

🟨 수학: 공식을 외우기보다 ‘문제를 구조로 보는 연습’이 핵심!

📌 왜 이렇게 공부해야 할까?

중학생 수학은 개념 → 문제 적용 → 사고력 응용의 흐름이 중요합니다. 개념 간 연결성을 이해해야 고등 수학에도 대비할 수 있습니다.

✅ 실천 전략

  • 개념노트 만들기: 공식만 적지 말고, 그 공식이 왜 필요한지, 어디에 쓰이는지까지 함께 정리해야 진짜 이해입니다. 예: “이차방정식의 해 공식은 왜 존재할까?”를 설명해 보는 방식
  • 1문제 3 풀이법: 같은 문제를 식 중심, 그림 중심, 말로 설명하는 방식으로 여러 번 풀어보기
    이 과정을 통해 ‘이해 기반의 유연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 오답노트 분류: 단순히 문제 다시 풀기보다, 왜 틀렸는지를 유형화하세요.
    계산 실수, 조건 해석 오류, 개념 미흡 등 원인별로 정리하면 시험 때 실수율이 크게 줄어요.

 

🟧 사회: 이야기처럼 흐름을 연결해야 기억됩니다.

📌 왜 이렇게 공부해야 할까?

사회 과목은 단순 암기로 접근하면 시험 끝나면 바로 잊기 쉽습니다.
사건, 원인, 배경, 결과의 흐름으로 연결하며 공부해야 효과적입니다.

✅ 실천 전략

  • 단원 마인드맵 정리
    사건이나 개념 간의 관계를 그림처럼 그려보세요.
    사회는 연결성이 생기면 ‘이해’가 되고, 그다음에 ‘암기’가 됩니다.
  • 비슷한 개념끼리 비교하기
    예: 자본주의 vs 사회주의 / 대통령제 vs 의원내각제
    표로 비교 정리하면 서술형 대비도 동시에 됩니다.
  • 시사 이슈와 연계하기
    뉴스에서 본 내용이 교과서 개념과 연결될 때 기억이 훨씬 오래갑니다.
    “요즘 전기요금이 왜 오르지?” → 경제 단원과 연결해 보는 습관!

 

🟥 과학: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진짜 공부입니다.

📌 왜 이렇게 공부해야 할까?

과학은 단순한 용어 암기보다 원리와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 실천 전략

  • 5 W1 H 방식으로 개념 정리하기
    실험이나 개념 하나를 “왜, 어떻게, 무엇을 위해, 어떤 조건에서” 등의 방식으로 설명하는 연습
  • 일상 속 현상과 연결해 보기
    예: 컵에 물방울이 맺히는 이유 → 기체의 응결 현상
    일상과 연결되면 과학이 ‘생활의 언어’가 됩니다.
  • 실험 결과 정리 카드 만들기
    교과서 실험을 시각적으로 정리하고, 실험 목적 – 과정 – 결과 – 원인을 한눈에 볼 수 있게 구성
    시각적 이해 → 시험 설명력 강화!

 

✅ 과목별 공부법 요약

과목 공부 핵심 전략 요약
국어 독해 → 사고력 지문 분석, 서술형 노트
영어 문장 감각 재구성, 구문 정리
수학 개념 → 적용 핵심노트, 오답 분류
사회 흐름 + 시사 마인드맵, 비교표
과학 이해 → 설명 5W1H 정리, 실험카드

 

✅ 마무리하며

모든 과목을 똑같이 공부하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과목의 특성을 이해하고 전략을 다르게 가져가는 아이가 더 오래 기억하고, 더 깊이 사고하며 성장합니다.

중학생 시기부터 과목별 전략을 세우는 습관은 고등학교, 대입까지 이어지는 자기주도 학습의 핵심 자산이 됩니다.
지금, 우리 아이의 공부 루틴부터 점검해 보세요.